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12월 4주차 마케팅 뉴스 스키밍

마케팅/마케팅 뉴스 스크랩

by 밤톨쿤 2017. 12. 25. 15:05

본문

반응형


즐거운 성탄절입니다 ^^

오늘도 마케팅 뉴스 스키밍은 이어갑니다. 12월 4주차(12월 18일 - 12월 24일) 마케팅 뉴스 클리핑입니다.



1. 카카오 유상증자 결정

카카오가 1조원 규모(7546520)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3자 할당 : 주주 이외의 특정한 자에 대하여 신주인수권을 주어 인수하게 하는 방법)를 결정했다. 모바일 중심 글로벌 콘텐츠 플랫폼 투자, 4차 산업 기업 및 기술 투자를 위한 목적이라고.

-관련 뉴스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7121807215745322

 

 

2. 카카오스토리 실제 이용률 50% 이상

DMC의 조사에 따르면 소셜미디어의 실제 이용률과 마케터 인식(예측)간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케터들인 인스타그램 이용률이 90.2%로 높을 것으로 예측했지만, 실제 이용률은 57.6%에 불과했다. 카카오스토리에 대해서는 31.6%가 이용할 것이라고 예측한 했지만, 실제 이용률은 53.8%로 나타났다. 인터넷 포털사이트 선택 시 고려하는 속성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마케터는 대중성(53.5%), 소비자는 이용편리성(UI, 53.2%)를 가장 중요하게 고려한다고 답변했다.


필기 온라인 환경은 워낙 변화가 빠르고, 마케터들은 사소한 움직임에도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차이가 나는 것은 어쩔 수 없다.


-관련 뉴스

https://www.msn.com/ko-kr/news/techandscience/%EC%9D%B8%EC%8A%A4%ED%83%80%EA%B7%B8%EB%9E%A8-%EC%9D%B8%EA%B8%B0-%EB%86%92%EC%A7%80%EB%A7%8C-2%EB%AA%85-%EC%A4%91-1%EB%AA%85%EC%9D%80-%EC%B9%B4%EC%B9%B4%EC%98%A4%EC%8A%A4%ED%86%A0%EB%A6%AC-%EC%9D%B4%EC%9A%A9/ar-BBGWfTR

 

 

3. 포털 검색광고, O2O 앱 수수료 부담 심각

'온라인 포털로 인한 소상공인 피해현황 실태조사'에 따르면(중기부, 코그니티브컨설팅그룹) 소상공인들이 키워드 검색에 하루 4~5만원, 많게는 수십만원까지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달앱 '요기요' 는 수수료, 부가세 등으로 음식값의 총 40%에 이르는 비용이 든다고. '배달의민족' 역시 상단 노출 광고를 위해 많은 비용이 소진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카카오의 대리운전 앱 역시 대리요금의 20%를 수수료로 징수한다고 한다.


필기 :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으로 경쟁하는 건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월 광고로 몇억을 쓰는 대기업과, 자본력이 없는 소상공인들은 시작부터 너무 큰 차이가 난다. 물론 가격대비 효율적인 광고를 하는 방법도 있다. 검색광고가 아니어도 마케팅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소상공인 입장에서는 쉽지 않은 방법들이다. 업체들을 규제하기 보다는, 소상공인들의 마케팅과 경영을 도와주는 정책이 적합하지 않을까 싶다.


-관련 뉴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12/18/0200000000AKR20171218067000030.HTML

 

 

4. 크롬 64버전 베타, 동영상 자동 차단 기능 도입

구글이 크롬 64버전 베타 버전을 배포 중이다. 크롬 64는 동영상 차단, 음소거 옵션 기능이 추가되어 있다. 이용자 입장에서는 원치 않는 광고 시청과 그로인한 데이터 소진을 줄일 수 있어 환영할만한 기능이다.

-관련 뉴스

http://www.itworld.co.kr/news/107590

http://www.bodnara.co.kr/bbs/article.html?num=144261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71220092053

 

 

5. 조선일보-경향신문, 광고성 기사 포털 전송

조선일보와 경향신문이 광고성 기사를 포털(네이버, 카카오)에 노출했다. 뉴스제휴평가위원회는 이를 부정행위로 판단해 제제키로 했다.

-관련 뉴스

http://www.media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40359

 

 

6. 카드사 마케팅 비용 급중

나이스신용평가에 따르면 올 상반기 카드사 마케팅 비용의 비중이 50%를 넘어섰다. 통계가 시작된 2010년 이후 최고치라고. 카드사들은 수익성 악화를 피하기 위해 공격적인 마케팅 전략을 펼치고 있다.

-관련 뉴스

http://www.sedaily.com/NewsView/1OOXIAD8P7

 

 

7. 네이버, '리멤버' 인수

네이버가 명함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리멤버'를 인수했다고 밝혔다. 리멤버의 이용자는 170~180만명이라고 한다. 리멤버는 이용자들이 명함을 쉽고 간편하게 저장할 수 있어 편리한 서비스. 기업들에겐 유용한 광고 매체로서의 가치가 있는 어플이기도 하다.


필기 : 광고 더 비싸질 듯


-관련 뉴스

http://www.hankookilbo.com/v/ca4b4a9b1f374340b9996670e20cc946

https://www.msn.com/ko-kr/news/techandscience/%EB%9D%BC%EC%9D%B8%ED%94%8C%EB%9F%AC%EC%8A%A4%C2%B7%EB%84%A4%EC%9D%B4%EB%B2%84-%EB%AA%85%ED%95%A8%EC%95%B1-%E2%80%98%EB%A6%AC%EB%A9%A4%EB%B2%84%E2%80%99-%EC%9D%B8%EC%88%98/ar-BBH4FcO

 

 

8. 유독물질 알고도 광고는 "인체 무해"

SK케미칼과 애경이 가습기 살균제 원료에 독성이 있다는 것을 알고도, 인체에 무해하다는 내용으로 광고 했던 것이 밝혀졌다.


필기 : 마케팅은 소비자가 원하는 상품을 찾을 수 있도록 길을 닦아주는 것이라 했다. 이 말을 처음 접했을 때, 이해는 가지만 그냥 갖다 붙인 의미는 아닐까 의심도 들었다. 이 말이 진심이건 아니건, 적어도 정직하게 마케팅을 하면 얼마나 좋을까? 거짓말은 안 했으면 좋겠다. 돈 받고 독 팔 생각을, 어떻게 사람이 할 수 있는 걸까.


-관련 뉴스

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1565128

 

 

9. 호텔업계는 지금 인테리어 마케팅 중

호텔업계는 최근 2030 세대를 겨냥한 인테리어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이들 세대는 소셜미디어 활용에 익숙하다. 특별한 방문이나 일상을 소셜미디어에 올려 자랑하는 이 세대의 특징을 활용한 것. 호텔 객실이나 로비에 특별한 포토존을 꾸며 소셜미디어를 통해 자연스럽게 마케팅이 되도록 한 것.


필기 : 직접적인 마케팅 채널에 돈을 쓰지 않고, 타겟의 특징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사업장에 반영해서, 고객을 통해 저절로 마케팅이 되도록 한 것은 자연스럽고 똑똑한 방법이다.


-관련 뉴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12/23/0200000000AKR20171223037800030.HTML

http://vip.mk.co.kr/news/view/21/21/2881665.html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